728x90

전체 글 523

시마노 유압브레이크(saint) 블리딩

시마노 유압브레이크 블리딩하는 방법입니다. 증상 : 유압브레이크에 공기가 생기거나 수분이 차게되면 레버감이 좋지 않고 딱딱 끊어지는 느낌이 아닌 푹푹 들어오고 제동이 잘 되지 않습니다. 블리딩 주기는 정해져 있지 않지만 느낌이 좋지 않을경우에 해주는게 좋습니다. 원인 : 브레이크가 밀봉이 되어있더라도 장시간 사용시 미세한 틈을 통해 수분이 들어가 쌓일수 있고 장시간 공기에 노출된 오일을 사용해도 좋지 않습니다. 해결방법 : 블리딩을 하기위해서는 전용블리딩킷이 필요합니다. 블리딩킷을 이용해서 영상을 보시고 따라서 하시면 금방 하실 수 있습니다.

브레이크 겉선 교체이유

겉선이 꺾여 교체를 해줘야 하는 이유와 겉선의 내부는 어떻게 되어있는지 알아봅시다, 증상 : 림브레이크만 해당이 되며 브레이크를 잡아도 제동이 잘 되지 않습니다. 레버는 잡혀서 들어오지만 중간에 힘이 손실되면서 제동이 잘 되지 않게 됩니다. 원인 : 브레이크선의 구조는 겉선이 있고 겉선안에 속선이 있습니다. 속선을 당기면 겉선을 지지대 삼아 당겨지게 되고 그 힘이 브레이크 캘리퍼로 전달되서 제동이 걸리게 됩니다. 하지만 겉선이 끊어지거나 꺾이게 되면 지지대가 무너지기 때문에 힘 전달이 되지 않습니다. 그럴경우 겉선을 교체하여 제동력을 살릴 수 있습니다. 브레이크 겉선의 구조를 보면 강철와이어가 지지대 역할을 하게 됩니다. '해결방법 : 브레이크 겉선을 뽑아서 같은 길이로 잘라주고 엔드캡을 넣어서 다시 조..

폴리머코팅 속선 일반속선 저항실험

겉선을 고정하고 속선을 넣어서 한쪽에는 200g의 물을 넣고 반대쪽에 얼마나 무게가 실려야 선이 움직이는지 저항값을 찾아보는 실험입니다. 림브레이크와 전동식의 아닌 변속기의 경우 속선이 무조건 들어가있습니다. 요즘은 속선도 여러가지 제품이 있어서 개당 10만원씩이나 하는 제품도 나왔습니다. 속선에 저항이 없으면 적은힘으로 제동력을 올릴수 있고 변속기도 적은 힘으로 변속을 할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본 영상에서는 폴리머코팅 속선의 저항과 일반 속선의 저항을 비교해봤습니다. 또한 기존의 일반속선에 오일링을 했을때도 저항이 어떻게 바뀌는지 원초적으로 실험해봤습니다.

유압브레이크 앞뒤 교체하기

유압브레이크 앞뒤를 간단하게 교체하는 방법입니다. 예전에는 오른쪽 레버를 앞브레이크로 사용했었는데 언젠가 부터 왼쪽 레버가 앞브레이크로 통일해서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사용자에 따라서 방향을 바꾸기도 하지만 통일되지 않고 방향을 바꿨다면 사고가 많이 날수있습니다. 왼쪽은 앞브레이크 오른쪽은 뒷브레이크 이렇게 통일해서 사용하는걸 권장합니다. 또한 다른 사람의 자전거를 빌려탄다면 꼭 브레이크가 어느쪽인지 확인 후 라이딩하시기 바랍니다. 일반 케이블 브레이크라면 간단하게 속선을 교체해서 위치를 바꿀수 있고 유압은 오일이 세지 않게 호스를 뽑아서 바꿔 꼽으면 위치를 교환할수 있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