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 523

액슬(axle)방식의 장점에 대해 알아봅시다

액슬, 트루엑슬 엑슬에 대해 들어보셨을 겁니다. 예전에는 액슬과 비슷한 규격의 나사산이 있는 볼트 방식으로 프레임에 체결을 했지만 가벼운 QR방식이 나오고 다시 QR과 예전방식의 장점만 결합되어 액슬, 트루액슬 이 출시가 되었습니다. 액슬을 사용하는 이유는? 손가락 굵기의 굵은 중간이 비어 있는 파이프로 프레임과 바퀴를 결합하는 방식입니다. QR방식은 프레임에 드롭아웃(DROP OUT)부분이 아래로 오픈되어 있는방식이 아닌 구멍이 뻥 뚫려 있는 방식입니다. QR은 느슨해지면 바퀴가 빠질수가 있지만 액슬은 액슬자체가 완전히 빠지지 않는이상 바퀴가 분리되지 않습니다. QR과 액슬을 사용했을 때 다른점은 QR은 휠이 좌우로 움직인다면 액슬은 단단하게 프레임과 휠이 고정되어 있는 느낌이 납니다. 산악자전거의 경..

카테고리 없음 2019.12.17

유압식 디스크 브레이크 한방에 이해하기

유압식 디스크브레이크에 대해 이해를 돕기위한 영상입니다. 자동차나 오토바이나 동일한 방식으로 브레이크가 작동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유압브레이크는 브레이크 호스안에 케이블이 들어있지 않고 오일(도트오일,미네랄오일)이 들어있어 레버를 잡으면 압력에 의해 캘리퍼에 압력이 전달하여 피스톤이 나오고 튀어나온 피스톤이 브레이크 패드를 밀어서 제동이 되는 방식입니다. 2개의 피스톤으로도 제동력이 좋지만 좀더 고성능을 내기 위해 4개의 피스톤을 넣어서 더 넓은 브레이크 패드를 장착할수 있는 4피스톤 브레이크 캘리퍼도 나와있습니다. 넓은 브레이크 패드로 제동 하는 면적이 넓어져서 확실하고 더 큰 제동력을 자랑합니다. 일반적인 2피스톤은 로드나 산악자전거에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다운힐이나 올마운틴 같은 고속다운힐 장르에 ..

풀어진 속선 정리 마감하기

자전거에 변속기나 브레이크에는 유압이나 전동식이 아닌이상 속선이 들어가 있습니다. 속선은 브레이크 마지막부분과 변속기에 물려있어서 유관으로 쉽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대부분 속선끝에 엔드캡으로 마감을 하지만 장시간 라이딩을 하거나 엔드캡을 꽉물리지 않았을경우 속선이 풀어지게되면 겉잡을수 없이 풀어져 버립니다. 초반에 속선 정리를 하면 괜찮지만 방치하면 완전히 풀어지고 휘어져서 수습이 되지 않습니다. 속선 하나하나가 강철로 바늘같아서 찔리면 굉장히 아픕니다. 속선이 풀어진 방향 반대로 다시 꼬아서 정리하는 방법입니다. 엔드캡이 있다면 엔드캡으로 마감하면 되지만 엔드캡이 없을경우 손쉽게 글루건으로 마감을 할수 있습니다.

인터널 케이블 쉽게 교체하기

요즘 나오는 자전거들은 인터널 케이블 방식을 많이 사용합니다. 자전거 외부에 나와 있는 선들을 프레임 안쪽으로 집어넣어 깔끔하면서 에어로 효과까지 누릴 수 있어서 저가의 자전거에도 인터널 방식으로 많이 출시과 되고 있습니다. 보기에는 굉장히 깔끔하지만 막상 속선을 교체하려면 전문가의 손을 빌리거나 실수할 경우 난감한 상황이 될 수 있습니다. 속선을 교체하기 위해 자석을 사용하거나 낚시줄을 사용하거나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 손쉽게 집에서 할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이용해 속선을 교체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선을 그냥 뽑지 않고 치실을 붙여서 가이드 라인을 만들고 속선을 뽑아서 새로운 속선을 치실에 붙여서 교체를 할수도 있고 만약에 속선을 완전히 제거했을 경우에는 진공청소기와 치실을 이용해 인터케이블의 속선을 ..

디스크브레이크 편마모의 원인 피스톤 정비

유압브레이크를 사용하다보면 흔히 발생하는 증상입니다. 증상 : 1. 브레이크를 잡지 않아도 슥슥 소리가 나고 구름성이 떨어진다. 2. 디스크 브레이크의 패드가 편마모가 생긴다. 3. 브레이크 패드의 간격이 너무 좁아서 센터를 맞춰도 소음이 나고 구름성이 떨어진다. 4. 바퀴를 뺏다 끼면 잘 들어가지 않는다. 원인 : 브레이크 캘리퍼를 보면 안쪽에 피스톤이 있고 피스톤이 패드를 밀어서 제동이 됩니다. 일반적으로 피스톤이 양쪽에 2개가 있고 고성늘 브레이크의 경우 피스톤이 4개가 있어 4피스톤이라고 합니다. 피스톤이 동시에 나왔다가 동시에 들어가야 하지만 장시간 사용하다보면 한쪽만 잘 움직이고 한쪽이 잘 안움직이면서 고착이 됩니다. 그럴 경우 피스톤이 계속 나와 있어서 패드의 간격이 좁고 편마모가 생기게 됩..

카테고리 없음 2019.12.16

V브레이크 간격, 장력 조절

v브레이크를 사용할때 한쪽만 브레이크암이 움직여서 림에 닿거나 패드가 편마모가 생길때가 있습니다. 증상 : 브레이크를 잡으면 브레이크암이 동시에 림에 닿았다가 떨어져야 하는데 한쪽은 붙어있고 한쪽만 움직입니다. 그럴경우 패드가 편마모가 생기고 림에 브레이크가 계속 닿아있어 구름성이 떨어집니다. 원인 : v브레이크 암옆에 보면 작은 십자나사 또는 6각 볼트가 있습니다. 그리고 그 암 뒤에는 텐션스프링이 있습니다. 십자나사 또는 6각 볼트의 역할은 텐션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는 기능을 합니다. 시계 방향으로 볼트를 돌리면 장력이 강해져서 림에서 멀어지려고 하고 시계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장력이 약해져서 림에 붙으려고 합니다. 해결방법 : 6각 볼트 또는 십자 나사를 브레이크 레버를 잡았다 놨다 하면서 브레이크암..

728x90